
전남 구례군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을 찾은 임향임 문화해설사가 충무공이 출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조형물을 가리키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전남 구례군 ‘백의종군로’를 찾은 탐방객들이 벚꽃이 만개한 서시천 뚝방길을 걷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이순신 태어난 4월, 백의종군길 ‘눈길’
1597년 124일간 걸은 ‘눈물의 행로’
경기·충청·호남·경남 곳곳 흔적 남아
전남, 도보코스로 정비된 ‘백미 행로’
구례부터 119㎞ 역사체험코스 꾸며
‘수군재건길’과 함께 ‘구국정신’체험
학자들은 당시 충무공이 명량해전에 출전한 것 자체가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군을 격파한 것만큼 기적적인 일로 여긴다. 명량대첩을 치르기 불과 12일 전만 해도 ‘백의종군(白衣從軍)’의 신분이었기 때문이다. 백의종군은 관리가 벌을 받아 관직을 삭탈 당한 채 전쟁에 나가는 것을 말한다.

전남 구례군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을 찾은 어린이들이 이순신 장군의 ‘조선수군 재건로’ 표지석을 살펴보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충무공의 백의종군은 선조에 의해 의금부에 투옥됐다 석방된 1597년 4월 1일부터 124일간 이어진다. 한양을 떠나 경기∼충청∼전북∼전남∼경남 진주를 거쳐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 1597년 8월 3일까지 험난한 행군을 한다. 현재도 전국 곳곳에는 충무공이 백의종군 당시 걸었던 흔적들이 다수 남아 있다.전남과 전북·경남 등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는 역사체험 장소로 만들기 위한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당시 걸었던 백의종군길 행로. 프리랜서 장정필
백의종군로 도보 코스는 지리산자락인 구례에서 시작된다. ‘봄의 전령사’로 불리는 산수유 시목지가 있는 계척마을을 출발해 산동면사무소까지를 걸어볼 수 있다. 서시천을 따라 형성된 옛길을 문화생태 탐방로로 만들어 놓은 구간이다. 임진왜란 때 피난 온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계척마을에는 1000년 된 ‘할머니 나무’를 중심으로 옛 성터와 분수대 등이 조성돼있다.

전남 구례군 산동면의 ‘백의종군로’ 시작 표지석 옆에 조성된 옛 성곽. 프리랜서 장정필
지리산 호수공원 입구에는 백의종군을 테마로 한 대형 벽화가 있어 충무공이 걸었던 고난의 행로를 보여준다. 스위스의 목초지를 떠올리게 하는 호수공원 인근에는 지리산 치즈랜드와 우리밀 체험관 등도 있다.

전남 구례의 ‘백의종군로’ 중 지리산 호수공원 구간. 프리랜서 장정필
구례읍에 들어서면 충무공이 남긴 흔적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백의종군의 몸으로 구례를 찾은 이순신을 가장 먼저 맞아준 손인필 비각과 ‘이순신 백의(白衣)바위’가 대표적이다. 손인필은 충무공과 함께 전쟁터를 누비다 노량해전 때 전사한 인물이다.

전남 구례군 ‘백의종군로’ 중 벚꽃이 만개한 서시천 뚝방길 구간. 프리랜서 장정필
손인필 비각과 백의바위가 있는 곳은 현재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이 조성돼 있다. 백의종군을 마친 충무공이 출정하는 조형물과 ‘조선수군 재건로’에 대한 안내 표지석 등을 둘러볼 수 있다. 구례읍내에 출정공원이 들어선 것은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된 뒤 가장 처음 입성한 지방관청이 구례현청이었기 때문이다.

임향임 문화해설사가 전남 구례읍 이순신 백의(白衣)바위에 형성된 흰줄을 가리키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황전면사무소에서 백야교와 매실밭 등을 거쳐 8㎞ 정도를 걷다 보면 ‘송치재’가 나온다. 가파른 산길을 오르던 충무공의 참담한 심정을 반영해 ‘장군의 눈물길’이란 명칭이 붙은 구간이다. 임란 당시 충무공이 왜군의 동향을 파악했던 이곳에는 탐방객들을 위한 전망대가 만들어져 있다.

백의종군로 중 서시천 인근의 석벽에 세운 운흥정 주변 전경. 프리랜서 장정필
구례·순천=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

전남 구례의 ‘백의종군로’ 풍광. 옛 시골길 사이로 지리산의 경관과 정자, 시골마을이 어우러진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전남 구례군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을 찾은 어린이들이 충무공이 출정하는 모습을 표현한 조형물을 가리키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