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아닌데 마른 기침한다면 '위험 신호'
━
1. 감기 증상은 없는데 기침이 지속한다.
심부전증에서 발생하는 기침은 대체로 마른기침이며, 잠자는 중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고, 자세를 바꾸면 기침이 다소 완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흉부 X선 검사와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한다.
━
2. 계단 몇 개만 올라도 숨이 차고 힘들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단을 위한 심장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노인들은 기력이 없고, 입맛이 없고, 소화기능이 저하되고, 폐활량이 적으니 숨이 찰 것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부모님들의 증상 호소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3. 앉았다 일어서면 어지러워 벽을 붙잡고 서 있는다.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한 경우에는 옆으로 누워서 안정을 취하면 대부분 증상이 회복된다.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는 이뇨제,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 복용을 금해야 한다. 부정맥이란 맥박이 너무 빠르게 뛰거나 느리게, 불규칙하게 뛰면서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증상이 자주 재발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4. 다리가 찌릿찌릿하고 통증 심한데 디스크는 아니라고 한다.
비슷한 증상의 허리디스크, 손목터널증후군, 당뇨 등의 질환과 구분이 필요한데, 특히 말초혈관질환은 자가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본인의 손목, 무릎 뒤, 발등, 발 안쪽 복숭아뼈 아래의 맥박을 측정해 맥박이 잘 뛰고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맥박이 약하거나 박동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보다 정밀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
5. 턱과 잇몸이 아파서 치과에 갔는데 이상이 없다고 한다.
허혈성 심장질환에서의 방사통은 왼쪽 어깨 및 겨드랑이 부분으로 이어지는 것이 통상적인데, 가끔 턱이나 목 혹은 등으로 퍼지는 경우도 있다. 가슴이 아닌 다른 부위의 통증이 발생하더라도 증상을 간과하지 말고 의사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6. 입맛이 없어 잘 먹지를 못하는데 체중이 늘었다.
심부전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급격한 체중증가, 피로감, 목의 혈관들이 불거져 나오는 경정맥 팽창, 누웠을 때 심해지는 호흡곤란, 식욕부진 등이 심부전의 증상이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서울아산병원 권고 체크리스트 5>
① 심장병(심장내과 이승환 교수)
② 만성질환(노년내과 이은주 교수)
③ 눈 건강(안과 김명준 교수)
④ 무릎 건강과 운동(정형외과 이범식 교수, 재활의학과 김원 교수)
⑤ 뇌혈관(신경과 권순억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