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예방·치료·관리, 단계별 다른 식사
최근 대한소화기암학회에서 개최한 '바른 식단 캠페인'에서 암 전문가들은 ▲암 치료 식사 ▲암 예방 식사 ▲암 치료 후 관리 식사가 다르다는 것을 강조했다. 경희대 의학영양학과 박유경 교수(한국임상영양학회 암특별위원회장)는 "암에 좋은 식사라고 했을 때 보통 사람들이 떠올리는 건 암 예방 식사에 가깝다"며 "암 치료 중에 이런 식사는 효과가 없다"고 말했다.
암 치료 단계에 따라 식사법이 다른 이유는 환자 상태 때문이다. 특히 암 치료 중 식사는 예방·관리 식사와 다른 점이 많다. 암 세포가 자라면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은 뇌하수체에 작용, 식욕을 저하시킨다. 또한 항암치료를 하면 부작용으로 음식 맛·냄새에 민감해지고 메스꺼움을 곧잘 느껴, 철분이 많거나 냄새 강한 고단백·고열량 식사에 거부감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이런 변화로 단백질 섭취가 줄어들면 단백질로 이뤄진 백혈구·항체 기능이 떨어져 면역력 유지가 어렵다. 총섭취 열량이 줄어들면 정상 세포 활동이 잘 안 돼 체력이 떨어진다. 부산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동욱 교수는 "암 환자는 몸속 면역세포들이 암 세포와 싸우는 상태라 건강한 사람보다 대사량이 높은 편"이라며 "가만히 있어도 에너지 소비가 많아, 건강할 때보다 1.5배는 잘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치료 중엔 잡곡밥 피하고, 암 예방엔 잎 채소를
암 단계별 추천 식이는 다음과 같다.
▷암 치료 중=단백질과 열량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하루 1.5g/㎏(체중)의 단백질 섭취를 권장한다. 소고기 같은 붉은 고기가 좋다. 엽산 같은 영양소도 많고, 열량도 다른 고기보다 높다. 김동욱 교수는 "대장암 환자는 붉은 고기 섭취를 걱정하기도 하는데,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붉은 고기 자체가 암 위험을 높이는 게 아니라 조리법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찜·국으로 먹으면 된다"고 말했다.
잡곡밥과 채소는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안 된다. 박유경 교수는 "식이섬유가 많아 포만감을 유발하고, 영양소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며 "되도록 흰 쌀밥을 먹고, 설사 증상이 있으면 채소도 조금만 먹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입맛이 없어 섭취 음식량이 적으면, 열량을 압축해 먹어야 좋다. 서울대병원 임상영양파트 김영란 임상영양사는 "우유 한 잔을 먹으면 120㎉지만, 얼린 바나나 1개, 호두 2알, 아몬드 3알, 꿀을 약간 넣으면 열량이 2~3배가 된다"고 말했다. 식빵은 잼을 발라 먹고, 마요네즈·생크림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암 치료 후=체중이 치료 전에 비해 줄었다면 당분간 고열량식을 유지한다. 여기에 환자에 따라 의사와 상의해 식이를 조금씩 조절하면 좋다. 예를 들어, 위암 절제 수술을 했다면 한 번에 많이 먹기 어렵다. 세끼 식사를 다섯끼로 나눠 먹으면 된다. 식도암 절제 수술을 했다면 위산이 역류하기 쉽다. 저녁 과식을 피하고, 먹고 난 후엔 조금 걸어야 한다.
▷암이 없는 상태(예방)=평소에 흔히 '건강식'이라고 알려진 잡곡밥과 채소를 가까이 해야 한다. 뿌리 채소보다 잎 채소가 좋다. 박유경 교수는 "감자·고구마 같은 뿌리채소보다, 브로콜리·양배추·케일 같은 십자화과 채소나 푸른 잎 채소가 항암 효과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포도나 토마토 같은 과일도 좋다. 닭가슴살·콩 등 가금류나 콩류를 가까이하고, 직화 스테이크나 훈제 햄은 피한다. 굽거나 훈제할 때 고기가 타면서 발암물질이 나올 수 있다. 과도한 열량 섭취는 비만을 부르므로, 나이에 맞게(65세 이상 남성 기준 2000㎉) 먹는다. 한 잔의 술이라도 암 발생률을 높이므로 금주한다.
[출처 : 조선일보]